오! 마이라이프

공매도 시작됐다! 주가 폭락 전 알아야 할 생존 투자법 TOP 3

오마이지저쓰 2025. 3. 31. 10:50
반응형
SMALL

📉 2025 공매도 재개, 주가 폭락은 현실일까? 반토막 vs 기회|생존 투자법 공개


주식차트를 보고 머리를 쥐어짜는 남성의 모습
공매도 재개, 생존 투자법 공개

공매도 다시 한다는데... 나만 불안해?

 

요즘 주식 관련 커뮤니티 들어가 보면, 분위기가 아주 살벌하죠.
"공매도 재개되면 다 죽는다", "지금 다 던져야 한다", "외인들 또 우리 털어간다" 등등.

심지어 제 친구 중 한 명은... 진지하게 "주식 계좌 접고 코인 간다"고 선언했어요ㅋㅋ
그런데 진짜 공매도 재개되면 그렇게 무서운 걸까요? 아니, 그냥 말 그대로 공포영화급인 건지?

사실 저도 처음엔 그런 줄 알았어요.


2020년, 코로나 사태 직후 주식시장 반토막 났을 때 그나마 숨통 트이던 게 ‘공매도 금지’.
그 덕에 개인투자자들도 한 번쯤 수익 맛봤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니까요.

 

근데... 오늘 부터 공매도가 다시 돌아왔어요.
그리고 시장은, 예상대로... 좀 흔들리고 있죠.


공매도? 단어는 많이 들었는데... 진짜 뭐임?

 

솔직히 말해서, 주식 좀 오래 한 저도 처음엔 이게 뭐가 뭔지 몰랐어요.
공매도? 공…뭐? 도? 공돌이 동아리 줄임말 같기도 하고;;
그런데 알고 보면, 이게 시장 흐름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더라고요.

 

공매도(Short Selling)는 한 마디로 말해서,

"없는 주식 빌려서 먼저 팔고, 나중에 싸지면 다시 사서 돌려주는 거래"

예를 들어 A기업 주식이 지금 10만원인데,
떨어질 것 같아. 그래서 주식을 빌려서 팔아버려.
한 달 뒤 진짜로 7만원으로 떨어지면,
다시 그거 사서 갚으면 나는 3만원 이득 보는 거임.

 

즉, 하락장에 돈 버는 방식.
듣기만 해도 무섭죠? 🥲

 

게다가 이건 대부분 외국인 투자자나 기관이 씀.
개미들은… 거의 못 씀. 시스템도 어렵고, 리스크도 크고.
그래서 공매도 재개되면, “외인 기관 VS 개미” 구도로 항상 긴장감이 팽팽해져요.

 

근데 여기서 중요한 건요,
공매도 자체가 나쁜 게 아니라는 거예요.
시장엔 공매도가 있어야 건강한 조정과 밸런스가 유지된다는 학계 주장도 많아요.

예:

2021년 한국거래소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공매도는 과열된 시장에서 거품 제거 역할을 하며, 장기적으로 투자 효율성을 높이다."

하지만… 개미 입장에선? 그런 거 알 게 뭐야;;
주가만 떨어지면 그게 문제지 ㅋㅋ


2025년 현재 시장, 진짜 심각한 거임?

 

이쯤에서 궁금해지죠.
“그래서 지금 시장은 도대체 어떤 상황이냐고요?”

자, 지금 2025년 1분기 기준,
국내외 시장은 꽤 복잡한 요소들이 얽혀 있어요.

✅ 긍정적인 요인들

  • 미국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연준에서 슬슬 꺼냄)
  • 삼성전자/하이닉스 중심으로 반도체 업황 회복
  •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슬금슬금 기지개
  • 엔비디아, 테슬라 등 美 기술주 상승 흐름

❌ 부정적인 요인들

  • 공매도 재개로 인한 개인투자자의 불안 심리 폭증
  • 중국 경기 둔화 + 환율 변동성
  • 정치적 불확실성 (총선 영향도 있음)

딱 봐도 장단점이 공존하는 상태.
그래서 ‘떨어질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매우 복합적인 시기예요.
요즘 투자자들이 자주 쓰는 말로 하자면,

“지금은 그냥... 조심히 버텨야 할 구간”이랄까?


그럼 우리는 지금 뭐 해야 하냐고?!

 

오케이, 공매도 재개 무섭고 시장도 애매한 건 알겠어.
그럼 우리는 도대체 어떻게 대응해야 하냐고?!

1.기본부터 탄탄히 - 종목 선별 중요성

 

이럴 땐 ‘나 믿고 들고 가는 주식’만 남겨야 해요.
시총 작고 실적 변동 큰 종목들은 공매도 타깃 1순위.
반대로, 재무 건실하고 실적 꾸준한 기업들은 방어력 있음.
전 개인적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일부 비중 유지 중이에요.

(물론 저도 하락장에선... 무서워서 폰 잠가버릴 때 있음 ㅋ)

2. 현금 비중 늘리기 - 탄력성 확보

 

시장 불안할 땐 총알(=현금) 챙기는 것도 스킬입니다.
괜히 물려서 손절하고 멘탈 나가는 것보단,
“기다렸다가 기회 오면 잡는 전략”이 훨씬 낫죠.

3. 기술적 분석도 챙기기 - 외인 동향 읽기

 

요즘 기술적 분석 꽤 많이 하더라고요.
저도 최근 들어 MACD, RSI, 이동평균선 이런 거 조금씩 공부 중이에요.
특히 공매도 잔고 비율 체크하는 건 필수!
네이버 증권에도 나오니까 한 번씩 보세요.

  • 공매도 잔고 비율이 급등? → 그 종목은 조심!
  • 갑자기 거래량 늘고 공매도도 늘었다? → 외인들이 뭔가 알고 있다는 신호일 수도 있음.

공매도 시대,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까?

주식 차트를 보고 웃고있지만 눈은 슬픈 표정의 남성의 모습
공매도에 대처하는 방법

 

결국 시장은 항상 ‘공포와 탐욕’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해요.
공매도는 그냥 그 가운데 하나일 뿐.
우리가 해야 할 건, 무작정 두려워하지 말고 정보로 무장하고 이성적으로 판단하는 거예요.

그리고… 너무 조급해하지 말기.
주식은 마라톤이고, 한두 번 하락한다고 인생이 끝나는 것도 아니니까요.

"하락장이란, 좋은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세일 기간이다."

- 어느 증권사 리포트에서 본 명언

지금도 제 포트폴리오는 마이너스 구간 많아요.
하지만 그게 끝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오히려 지금 같은 시기가 ‘진짜 투자자의 관점’을 만들어주는 시기라고 믿어요.

 

그러니까, 오늘도 우리 같이 버텨봐요.
하루하루는 버티고, 길게 보면 이기는 그런 투자자가 되길🙏

반응형
LIST